이 글의 순서
지속적인 객체 캐시 문제

잭팩 Jetpack 의 사이트 건강에서 지속적인 객체 캐시를 사용해야 합니다 라는 문제점을 알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객체 캐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시 관리 플러그인으로 WP Super Cache 를 사용해도 되지만, 카페24에서는 이것으로는 해결이 되지 않는다.
잭팩에서도 캐시 관리 기능이 있는 데, 이것도 객체 캐시는 관리를 하지 않는다.
카페24에서 워드프레스를 사용할 때 객체 캐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해 본다.
객체 관리 방법
일반적으로 워드프레스에서 객체 캐시 Object Cache 를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플러그인은 다음과 같다.
- Redis Object Cache
Redis 서버가 필요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객체 캐시 방법이라고 한다.
별도의 기능이 필요하다. - Memcached Object Cache
Memcached 서버를 이용한 캐시 관리 방법이다.
Redis 보다는 설정이 단순하다고 하지만, 별도의 기능이 필요하다. - W3 Total Cache
페이지 캐시와 객체 캐시 모두 지원하지만 설정이 복잡하다. 별도의 기능이 필요하지 않다.
이렇다고 한다.
문제는 카페24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서버 기능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계정의 디스크 단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W3 Total Cache 만 사용이 가능하다.
LiteSpeed Cache 플러그인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는 데, 이것은 카페24의 일부 지원하는 호스팅만 된다고 하니 대부분은 안된다고 봐야 한다.
쉽게 이해하는 법은 카페24, 가비아 등의 저가 공유 호스팅은 W3 Total Cache 을 사용하는 것이고 고가의 VPS, AWS, Cloudways 와 같은 호스팅은 Redis 와 같은 관리툴을 사용할 수 있다.
W3 Total Cache 설치 및 설정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 새로 추가 에서 W3 Total Cache 를 검색 후 지금 설치 로 설치 후 활성화를 해 준다.

활성화 이 후 설정 가이드에서 허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주요 옵션 설정
성능 > 일반 설정 에서 W3 Total Cache 세부 설정을 세팅을 해야 한다. 카페24에 사용할 때 맞는 변경해야 하는 세팅값은 아래와 같다.
- 페이지 캐시 : 활성화 체크박스를 선택 / 페이지 캐시 방법은 디스크 : 항상 으로 선택
- 축소 : 활성화 선택하지 않음
- Opcode Cache : 변경하지 않음
- 데이터베이스 캐시 : 활성화 선택하지 않음
- 객체 캐시 : 활성화 체크박스를 선택 / 객체 캐시 방법은 디스크로 선택
- 브라우저 캐시 : 활성화 체크박스를 선택
- WP Cron을 통한 퍼지 : 활성화 선택하지 않음
이렇게 선택하고 설정 저장 버튼으로 저장한다.

객체 캐시를 활성화할 때 위와 같은 위험 경고창이 뜬다. 위험을 이해합니다. 클릭해서 넘어간다.
캐시 관리
블루호스트에서는 용량이 부족하지 않아서 캐시 문제를 고민해보지 않았다. 카페24는 용량이 풍족하지 않다보니 캐시로 인해 용량이 Full 이 되기도 했다.
위와 같이 설정한 하고 나서, 가만히 두면 용량이 캐시로 Full이 된다. 주기적으로 모든 캐시 비우기 를 작업해 주어야 한다.

이것을 수작업으로 하지 않는 것이 WP Cron을 통한 퍼지 인데, 이것을 사용하면 지정한 시간과 간격으로 캐시를 제거해준다.
그런데 카페24에서는 공유호스팅을 사용할 경우 리소스가 부족해서 사이트가 느려지거나 캐시 기능이 저하되기도 한다.
또한 Cron 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용량이 Full 이 되기도 한다.
어차피 불안할 바에는 수동으로 캐시 작업을 해 주는 것이 안정적이니, 비활성화로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모든 캐시 삭제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다.
추가정보

그 작업을 준비하다가 호스팅을 바꾸는 것에 생각이 닿았다. 2018년까지는 cafe24를 사용해 왔었다.